정보마당


칼럼/논문

이름 서진희 이메일 newway919@gmail.com
작성일 2015-09-12 조회수 608
파일첨부
제목
"김정은 만세"에서 "산림애호"…달라지는 북한?

 

"김정은 만세"에서 "산림애호"달라지는 북한?

[국경을 걷다, 2015] <2> 압록강 특색을 지닌 시장 사회주의

 

황재옥 평화협력원 부원장 2015.09.11. 09:56:23

 

 

 

압록강 주변을 둘러보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압록강 단교 위를 걷거나, 수풍댐까지 가는 배나 보트를 타고 강 주변의 북한 산야와 마을, 그리고 북한 주민의 일상을 보는 것이다. 수풍댐까지 올라가는 관광상품이 그새 더 다양해졌다. 수요가 늘어나니 자연스레 공급도 많아진 것 같다.

 

3년 전에는 압록강 단교 근처에서 한 번, 마오안잉(毛岸英) 동상이 있는 칭수이(淸水)에서 한 번, 이렇게 두 번 보트를 타고 압록강 주변을 둘러보았다. 그러나 이번에는 마오안잉 동상이 있는 곳에서 한 번만 보트를 타고 강 주변을 보기로 했다. 수풍댐 근처 접근을 중국 당국이 막는 바람에 가까이서 수풍댐을 볼 수는 없었다. 날이 갈수록 북·중 접경지역에서의 중국의 통제와 감시가 심해지는 것 같다.

 

어제는 날씨가 흐려 안개 낀 신의주를 멀리 바라보았다. 그러나 다행히 오늘은 날씨가 쾌청해 강가에 나와 있는 사람들의 얼굴 표정까지 읽을 수 있었다. 유람선에는 우리 일행을 빼곤 전부 중국인들이었다. 가족단위로 관광선을 타고 유람을 하러 온 사람들도 있었다.

 

중국사람들이 북한에 관심을 갖는 이유가 뭔지 궁금하지만, 분명한 것은 북한을 바라보는 그들의 마음과 우리의 마음은 분명 다를 것이라는 점이다. 시동이 걸려 배가 출발하자 나는 앉아 있을 수가 없었다. 호기심과 연민, 착잡함 등으로 가슴은 먹먹하고 눈은 바빠졌다.

 

날씨가 맑아서인지 배를 타고 물고기를 잡으러 나온 북한 남성들이 보인다. 작은 모터로 움직이는 배였다. 기름으로 움직이는 모터 달린 배는 3년 전에는 볼 수 없었다. 압록강에 떠 있는 작은 배 서너 척은 고기를 잡거나, 관광객을 상대로 장사하는 배였다. 우리가 타고 있는 유람선에 모자를 쓴 건장한 북한 남성이 접근해 왔다. 관광객을 상대로 북한 술과 담배를 팔고 있었다. 개성 소주는 50위안, 우리 돈으로 만원 정도 했고, 산삼술은 100위안이었다. 압록강에서 북한사람이 장사를 하고 있는 것이다.

 

저 멀리 북한초소가 버젓이 지켜보고 있는 가운데, 유람선은 장사하도록 강 중앙에 정지해 주었고, 북한 상인은 장사를 한다. '압록강 특색을 지닌 시장 사회주의'가 바로 눈앞에서 펼쳐졌다. 아마 북한 상인과 관광선 운전자, 북한 군인이 4:3:3 정도의 배분으로 이익을 나누기가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시장 사회주의'의 물을 먹은 북한 상인의 때깔이 좋아 보였다. 중국인들도 북한 상품이 신기한지 담배와 술을 샀다.

 

수풍댐 주변의 압록강변은 3년 전과 비교했을 때 많은 변화가 있었다. 북한 마을과 사람들도 변했다. 강가에 나와 있는 사람들의 표정과 눈에 들어오는 산과 들, 그리고 주민들의 일상에 변화가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강가에 나와 있는 사람 수에 비해 그 옆에 세워져 있는 자전거 수가 늘었다. 거의 대부분이 자전거 하나 정도는 가지고 있는 것 같다. 바람에 날아갈 듯한 회색 지붕은 파랑, 주황의 양철지붕으로 바뀌었다. 마을 전체의 지붕이 다 개량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개인 능력의 차이에 따라 집도 수리하고 사는 듯했다. 새롭게 페인트칠을 한 가옥들도 눈에 띄었다. 강가에 나와 있는 염소와 오리 수가 생각보다 많은 것도 놀라웠다.

 

한편, 이번 답사 내내 내 눈을 놀라게 한 것은 지난 답사 때에 비해 소를 비롯한 가축 개체 수가 부쩍 늘었다는 점이다. 1998년 압록강 건너 북측 지역에는 염소 한 마리, 소 한 마리 볼 수 없었다. 그 당시 강가에는 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떼 지어 나와 앉아 있었던지. 퀭하고 초점 없는 눈으로 강 건너를 응시하는 그들을 보면서 눈시울이 뜨거웠던 기억이 났다. 지금은 강에서 고기를 잡거나 빨래를 하거나 물놀이를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었다.

 

강을 오르다 눈이 번쩍 뜨이는 장면이 들어왔다. 현재 가동되는 것처럼 보이는 공장 건물이었다. 파랑과 주황으로 지붕과 벽을 새롭게 칠한 제법 규모가 큰 공장이 가동되고 있었다. 2개의 높다란 굴뚝에서는 연신 연기가 내뿜어져 나오고 있었다. 그 공장이 무엇을 만들어 내는지 알 수 없었지만 공장 마당과 창고에는 석탄과 자재꾸러미가 쌓여 있었다. 동행한 가이드 설명으로는 북한 측 공장을 중국인이 인수하여 가동하고 있는 것이라 했다. 알록달록한 색깔만으로도 '회색빛 마을'에 생기가 도는 듯했다.

 

접경지역에서 중국과 북한을 구별하는 것 중 하나가 북한의 뙈기밭이다. 중국 측 산은 나무로 무성한데 반해 북한 측 산은 뙈기밭으로 모자이크 모양을 하고 있다. 현재에도 뙈기밭 경작지는 줄어든 것 같지는 않다. 그러나 1990년대 고난의 행군 시절 이후 근 20여 년간 뙈기밭 경작의 노하우가 생겼는지 산 중턱까지 옥수수 같은 작물이 재배되고 있는 듯했다. 산꼭대기 뙈기밭까지 사람이 손길이 닿은 흔적을 볼 수 있었다.

 

또 하나의 변화는 3년 전 수풍댐이 가까워지면서 북한 쪽 산야에서 볼 수 있었던 "위대한 김일성-김정일주의 만세", "위대한 령도자 김정은 동지 만세"라는 구호를 찾아 볼 수 없다는 것이다. 대신 "산림애호"라는 구호가 나왔으며, 붉은 글씨는 흰 글씨로 바뀌었다.

 

수풍댐에서 돌아오며, 북한 사회가 3년 동안 정지된 채로 있지는 않았다는 것을 다시금 느낄 수 있었다. 20133차 핵실험으로 인한 유엔의 대북제재, 소원한 북·중 관계, 그리고 경색된 남북관계 속에서도 북한 주민의 살림이 더 나빠지지는 않은 것 같았다.

 

혹자는 북한 사회, 경제적 변화의 요인으로 1990년대 대기근을 꼽기도 한다. 이때 생겨난 '장마당(암시장) 세대'가 북한의 사회, 경제적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고 하는데, 새삼 실감 났다. 이들은 김일성의 사망과 1990년대 수십만에서 수백만 명이 굶어 죽은 고난의 행군, 2009년 화폐 개혁과 현재 김정은 집권 등을 겪으면서 이념과 사상보다는 먹고사는 문제에 더 관심이 많은 세대이다. 물론, 장마당 세대를 젊은 세대에만 국한하지 않고 암시장 거래를 경험한 모든 북한 주민을 지칭하기도 한다.

 

3년 전 김정숙군에 위치한 장마당을 멀리서 바라보면서 신기해했다. 북한에 물건을 사고파는 '시장'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신기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제는 이것도 옛말이 돼버렸다. 현재 북한에는 400개 정도의 장마당이 있다고 한다. 구글 위성사진으로 파악된 북한 내 장마당이 396개로, 2010년보다 두 배 가까이 늘어난 수치다.

 

사회주의 배급체제의 붕괴와 이에 따른 자본주의·시장의 경험이 장차 얼마나 북한을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지 현재로썬 예측하기 어렵다. 하지만 가장 변방 지역에서 시작된 '시장화'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아닌가 싶다. 북한의 배급체제 붕괴는 더 이상 주민들에게 체제에 대한 헌신과 충성을 강요할 수 없게 됐고, 정권의 주민 통제가 어려워지면서 시장에 노출되는 주민들은 점점 많아질 것이다. 마을 중간중간에 양철지붕으로 개량된 집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다른 주민들보다 먼저 '시장화'를 경험하고 경제적 여유를 누리는 듯했다.

 

 

 

이전글 8.25남북합의의 정치학과 불안정한 동북아시아
다음글 뜬구름 위 박근혜, 어서 땅으로 내려오시길…